안녕하세요? 나우에 가서? 좋은 자료를 하나 받았습니다.
napkin 이라는 분의 설명입니다..
안녕하세요.
리니어 매핑에 대한 말이 많은 반면 관련된 자료가 하나도 없길래
하나 만들어 봤습니다. 구현방법이 많이 있긴 하지만 가장 대중적
인 방법인 VESA 2.0 용 루틴입니다. 따라서 카드가 VESA 2.0 을
지원하거나 (거의 없죠. 아마...) Univbe 같은 VESA 지원 유틸리티가
있어야 작동하죠.
(Univbe 같은 경우 5.1 이상 버젼을 띄워야 합니다. 이런말 해도
될른지 모르겠는데... (살짝) 시리얼넘버가 막 굴러다니더군요...
5.2 버 젼을 추천합니다.)
뭐 핵심적인 루틴(vesa.cpp dpmiserv.cpp)은 제가 만든게 아니라
Matt Howard 라는 미국애가 만든건데... 맘에 안들게 코딩하긴 했지만
쓰기는 편하네요. 잘 보시면 이해가 가실껍니다.
페이징 같은 몇가지 루틴을 추가했구요. 테스트용으로 PCX 파일
보기를 같이 넣으니까 감상하시길... VESA 2.0이 지원않되면 그냥
주저 앉으니까 주의하세요.
VESA 문서 파일도 훔쳐서 넣었습니다.
제작 환경: 486DX4 100, Tseng 4000 W32p (PCI)
참고 : example.exe... 도스로 나가는 키는 'Q'
언제나 napkin !!!